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채권 ETF Top20과 투자 시 주의 사항을 다룹니다. 특히, 채권 ETF는 만기가 없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에 따른 투자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Risk를 극복할 전략까지 정리했습니다.
- 버핏 & 그레이엄 혼합전략 -

 이전 글

 

[ETF] 평생 보유할 ETF 찾기 #1 (feat. ETF 시총 Top20, 채권 & 지수 추종, 연금펀드 & 퇴직연금DC 계좌)

국내 시총 Top 20 ETF와 각 종목별 특징에 대해 소개합니다 최근 ETF는 그 다양성과 효용성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연금펀드나 퇴직연금 DC 계좌에서 ETF

bigpicture1.tistory.com

 

 

 들어가는 글

오늘은 최근 물가상승률이 소폭 하락 함에 따라 2024년 미국 금리가 본격적으로 내리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채권과 채권 ETF가 특별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오늘은 채권 ETF에, 특별히 시총 TOP20 종목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 덧붙여 버핏이 추천한 지수추종 ETF와 벤저민 그레이엄의 조언을 곁들인 지수-채권 혼합 투자전략에 대해서도 나줘보도록 하겠습니다. 

 



채권ETF 투자 시 주의사항 


채권 ETF는 원금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기존 알채권, 국고채의 경우 장기채 투자 시 가격이 하락한다 하더라도 만기보유 전략을 취한다면 만기 시 '원금 + 이자 + 시세차익분(저렴하게 매수 시)'을 득할 수 있으나, 채권 ETF의 경우 만기가 없기에 가격이 떨어질 경우 리스크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따라서 단기 자금으로 채권 ETF를 투자하고자 한다면, 금리인상에 따른 가격하락 Risk에 굉장히 취약할 수밖에 없기에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국내 시총 Top 20 채권 ETF 리스트 


국내 CD금리 추종 ETF와 AA급 이상의 회사채, 단기채 등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 채권 ETF에 투자하는 분들 중 대다수는 원금보장을 중시하는 경향이 짙은 보수적인 투자자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고금리 기조와 맞물려, 원금보장과 이자수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필자는 아래 채권 ETF 리스트 중 CD금리투자 ETF가 가장 눈에 들어옵니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다면, CD금리 추정 ETF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건 : 수수료는 낮고, 거래량 많을 것)  그리고 외 회사채나 국채 ETF는 선호하지 않습니다.

 

 

보수적인 종목들 중에서 ACE 미국30년 국채액티브(H) 종목이 눈에 들어옵니다. 30년 국채 액티브에 투자하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cf. 금리 인하 시 채권 가격 상승 원리와 듀레이션 :  금리의 행방을 유추할 수 있는 30년 채권 ETF 


금리가 인하될 때, 기존에 발행된 고정금리 채권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이는 채권의 듀레이션, 즉 평균 만기까지 남은 시간이 길수록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기가 긴 채권 ETF에 투자를 합니다. 아직 금리인하를 하지 않았지만, 금리인하 압박을 크게 받고 있다는 것과 향 후 금리인하 확률을 높게 점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30년 채권 ETF의 가격을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습니다. 불과 지난 3개월 사이에 7600원 정도에서 9270원으로 채권가격이 올랐습니다. 이는 국고채 장기채도 마찬가지입니다. 시장의 예측과는 반대로 만에 하나 금리가 오르게 된다면 채권가격은 만기가 길 수록 크게 내려갈 것입니다.

 

 

 

국내시총 TOP 20 채권 ETF  개요


이제 국내 시가총액 기준 Top 20에 랭크된 채권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각 ETF의 특징과 개요에 대해 정리한 표입니다.

 

순번 ETF 이름 설명
1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양도성예금증서(CD) 관련 파생상품을 주 투자 대상으로 삼음
2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CD금리를 추종하는 ETF
3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한국은행 기준금리(KOFR)를 추종
4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금리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
5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높은 신용등급 채권에 투자
6 KODEX 24-12 은행채(AA+이상)액티브 AA+ 이상의 신용등급을 가진 은행채에 투자
7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현금과 유사한 안정성을 지닌 머니마켓펀드(MMF)에 투자
8 KODEX 단기채권PLUS 단기 채권에 투자하여 안정적 수익 추구
9 KBSTAR 종합채권(A-이상)액티브 다양한 신용등급 채권에 분산 투자
10 TIGER 단기채권액티브 단기 국채 및 우량 채권에 투자
11 TIGER 24-10 회사채(A+이상)액티브 A+ 이상 회사채에 투자
12 KODEX 단기채권 안정적인 단기 채권에 주로 투자
13 TIGER 단기통안채 단기 통안채에 투자하여 안정적 수익 추구
14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
15 ACE 종합채권(AA-이상)KIS액티브 AA- 이상의 국내외 채권에 투자
16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미국 달러 표시 단기 채권에 투자
17 SOL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 AA- 이상의 다양한 채권에 투자
18 TIGER 24-04 회사채(A+이상)액티브 A+ 이상의 회사채에 주로 투자
19 KOSEF 국고채10년 10년 만기 국고채에 투자하여 장기적 안정성 추구
20 TIGER 25-10 회사채(A+이상)액티브 A+ 이상의 다양한 회사채에 투자

 

 

투자전략 고민 : 버핏 & 그레이엄 혼합전략


최근 국내와 미국 지수가 급격히 회복을 하면서 많이 올랐는데, 이 기세가 과연 계속해서 유지될지, 아니면 한순간 우크라 러시아 전쟁이 발발하며 주식시장이 얼어붙었던 것처럼 어떠한 악재가 다시금 발발하여 지수가 다시금 고꾸라질지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내년에 금리를 인하한다고는 해도 갑자기 잡히던 물가가 다시 올라 매파 발언이 나올 수도 있는 거고, 하여간 고민이 많습니다. 제가 이러한 부분을 전망하고 맞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지금쯤 전용기 타고 놀러 다니고 있겠죠. 

 

그냥 장기적인 관점에서 10년 이상 묵혀 둘 자금이라면, 버핏이 추천했던 S&P500에 묵혀두는 건 어떨까요? 여기에 벤저민 그레이엄의 전략을 더해 주식과 채권을 적절히 혼합하여 투자를 한다면, 투자 시점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여기에 또 한 번 더하여 10년 이상의 장기보유 전략을 취해 나간다면 다시 한번 리스크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벤저민 그레이엄 #1] '현명한 투자자'에서 배운 부동산과 주식 투자원칙과 '안전마진'

들어가는 글 증권이나 아파트를 투자할 때 항상 가슴속 깊이 유념하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안전마진이 그것입니다. 이 안전마진에 대한 개념은 20대 중반에 우연히 수강하게 된 '증권투

bigpicture1.tistory.com

 

주식과 채권을(ETF가 아닌 알채권) 혼합할 경우 장점은, 주식시장이 붕괴했을 때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의 현금을 회수하여 주식시장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채권의 비중이 높을수록 주가하락에 대한 리스크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지수 하락 시 더 저렴한 가격에 SPY, NASDAQ 지수추종 ETF를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10년 이상 장기보유 시 ETF와 채권혼합 투자전략은 다음과 같이 세워봤습니다.

 

 

전략 1. 현금 30% 지수추종 SPY 투자 + 현금 70% 국고채 투자(만기 분산 : 1년, 3년, 5년)
전략 2. 현금 40% 지수추종 SPY 투자 + 현금 60% 국고채 투자(위와 같음)
전략 3. 화끈하게 현금 100%는 SPY 투자 

위와 같이 지수추종 ETF와 알채권 비중을 적절히 조정하며 투자하는 건 어떨까요? 공격적인 투자자일수록 지수추종 상품에 현금 비중을 높이고, 보수적인 투자자일 수록 채권 비중을 높일 것입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초보 투자자라면 채권의 비중을 높이길 추천합니다. 필자는 왕초보 + 보수적인 투자자이기에 주식보다 채권의 보유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고민 중에 있습니다. 채권의 경우 아직 기준금리가 높기에 3% 대로 단기채를 보유한다면, 이자도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평생 보유할 ETF 찾기 2편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시총 Top 20 채권 ETF에 대한 분석을 마칩니다. 다음 편에서는 해외 ETF 시총 Top20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