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프로젝터 설치 및 스크린 투사에 대해

사진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 프로젝터 설치

프로젝터 설치는 벽 선반 위에 했습니다. 

거실 바닥에 아무것도 안 두고 싶어서 벽 선반에 

사운드바와 함께 프로젝터를 설치 한 것이죠. 

 

벽선반 프로젝터 사운드바 설치

​정면 사진입니다. 

정면 확대 사진

정면사진

​측면사진입니다. 

측면에는 HDMI, OPT, LAN, USB 등 

다양한 단자가 있습니다. 

측면 사진
측면 사진
측면 사진

​아래는 스크린 사진입니다. 

​프로젝터를 ON하면

아래와 같이 영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영화관 갈 필요 없어요. 너무 좋습니다. 

​이상으로 홈시어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관련 글  Click↓↓↓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1편_프로젝터(HF60FAG) 모델 선정하기 (LG 프로젝터 후기)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2편_스크린 사이즈 및 프로젝터 위치 선정 노하우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3편_프로젝터 및 스크린 설치 방법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4편_프로젝터(HF60FAG) 용도(넷플릭스, 게임, TV, 월광보합 등)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위닉스 공기청정기 

타워 XQ700을 들고 왔습니다. 


제 아내가 요즘 입덧이 심해서, 

주방만 가도 헛구역질을 하더라구요.. 

사실 미세먼지보다는 주방 공기가 좀 나아졌으면 하는 마음에 

공기청정기 한 대를 재빨리 입양 했습니다. 


어쨋든 이 제품을 일단 다나와나 에누리 같은 사이트에서 인터넷 최저가로 

구매를 했습니다. 지난 3월17일에 구매를 했고, 25일에 도착을 했습니다. 

배송 기간은 8일 소요 됐네요. 



그럼 구매 팁과 언박싱,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1. 구매 팁 : 인터넷 보다 오프라인 매장 구매 추천!

인터넷 보다는 

하이마트 같은 종합 가전 샵에서 

구매 하는 것을 추천 드릴게요. 


이유는 인터넷 최저가와 가격이 비슷하고, 

당일 구매하고 바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배송 대기 시간이 없습니다


저희는 운좋게도, 

일주일 남짓한 기간 안에 제품이 도착을 했습니다. 

하지만 보통 인터넷 구매하신 분들 후기 보면 

2주는 평균적으로 기다리시고,



2. 언박싱 및 필터 설치방법 

택배로 구매를 하면 

아래와 같이 박스에 담겨서 옵니다. 


상부 테이프를 제거하고, 

박스를 활짝 열면 완충제와 설명서가 있습니다. 

공기청정기는 4계절 내내 돌리는 가전이기 때문에 

과감히 종이 박스를 해체 해줍니다. 

​​

스마트폰 연결 및 청정기 조작 가이드 북 등 

설명서가 두 개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무게가 14KG정도 나가서 조금 무겁긴 한데, 

아래 바퀴가 있습니다. 매우 잘 굴러가요~​

​​

공기청정기 전면부 입니다. 

23평형으로 나온 만큼 체적이 상당합니다. 

일단 높이가 80cm에 육박합니다. 그만큼 미세먼지 제거에는 효과적이겠죠. ^^

상판 모습입니다. 심플하죠?

버튼은 터치식입니다. 


​중간부분에 노랑색 스티커는 필터부분입니다. 

필터에 포장이 되 있는데,

포장을 제거하고 재조립 해줘야만 

공기청정기를 정상 가동 할 수 있어요. 


필터 포장을 제거하기 위해,

앞판을 취외 합니다. (앞,뒤 필터 2세트) 

필터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구성 되 있습니다. 

- 프리필터 - 탈취필터 - 마이크로 집진필터

이 중 탈취와 마이크로 집진 필터는 6~12개월에 한 번씩 교체를 해줘야 됩니다.

필터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포장지에 필터구매 방법까지 적혀있네요. 

그나저나 공기청정기 회사는 일단 제품을 하나 판매하면,

그 이후 필터 판매에 따른 수입도 솔솔하겠어요..

비닐을 벗겨내면 탈취필터와 집진 필터가 나옵니다. 

탈취 필터도 포장을 벗겨내야 됩니다. 


포장을 벗겨 낸 모습입니다. 

탈취필터 내부에 숯같은 입자들이 있는데, 흔들면 사각 사각 거립니다.

마이크로 집진필터는 삽입 방향이 정해져 있습니다. 

마킹 되 있는 부분을 위로가게 해서 공기청정기에 삽입해 주셔야 

정상 동작 시킬 수 있습니다. 


만일 마킹 되 있는 부분을 아래로 해서 설치를 하시면

공기청정기가 동작을 하지 않아요. 


집진필터를 먼저 넣고, 

그 다음 탈취 필터를 넣습니다. 

프리필터는 마지막에 넣는 것입니다. ​

조립을 다하고 앞판을 닫으면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이 제품을 조금 만져본 느낌을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마감 품질이 상당히 좋습니다. 

앞판 탈착도 쉽고, 필터 설치도 쉽습니다.


이상으로 구매 팁 및 언방식, 설치방법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미세먼지 제거나 탈취 기능은   

일주일 정도 사용해 보고, 자세한 후기 글을 올릴게요.


미세먼지 + 집안 내 냄새 제거 효과가 있길 바라며 오늘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를 잡고, 스크린의 사이즈가 정해졌다면 그 다음은 시스템 구성도를 그려보는 것입니다. 프로젝터에 어떤 소스를 넣어서 즐길 지를 생각해보는 거죠. 저의 경우 프로젝터 자체에 내장 되 있는 넷플릭스를 베이스로 해서, 노트북이나 게임기, 블루레이급의 초고화질 영상을 프로젝터로 즐기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위 사진에 대한 세부 내용 설명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youtu.be/8X2ERmWvhcc




출처: https://bigpicture1.tistory.com/68 [꿀동산 스튜디오]


                                         <넷플릭스>



                                         <게임, 월광보합>



                                         <HDMI or TV>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지난 글에 이어서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 설치 방법 및 노하우 공유"라는 주제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LG HF60FAG 프로젝터 설치방법
먼저 거실에 벽선반을 고정했고, 그 선반 아래에 PA75K라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그 위에 프로젝터를 고정했습니다. 브라켓 끝부분은 원형 나사로 되있고, 프로젝터는 하단에 구멍이 있어, 프로젝터와 브라켓이 암수나사로 결합되는 것입니다.


벽선반 설치 팁을 드리면, 배터리 타입 전동 드릴로는 절대로 콘크리트 타공이 되지 않습니다. 무조건 전동드릴로 해야되고, W가 높을 수록 좋습니다. 한번도 DY해본 경험이 없으신 분들은 근처 철물점이나 전파상에 연락해서 벽선반 설치해달라고 하면 적게는 3만원, 많게는 5만원 정도 받으면 구멍 뚫어 줍니다. 만약에 앞으로 콘크리트 타공할 일이 많을거 같으면 최소 보쉬에서 나온 GSB16RE 이상되는 전동드릴을 구매하셔야 됩니다. 배터리 타입은 힘이 약해서 안되고, 220V 콘센트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타입으로 구매하셔야 됩니다. 




2. 사운드바 

사운드바는 가성비가 가성비 갑인 브리츠 BZ-T3710을 설치 했습니다. 저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어서 사운드를 크게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아닙니다. 그래서 애초에 3채널, 5채널 이런건 염두해 두지도 않았고, 그냥 가장 기본이 되는 사운드바를 구매했습니다. 실사용한지 어느덧 1년이 넘었는데, 대만족하고 있습니다. 




사운드바와 프로젝터의 연결은 옵티컬(OPT) 단자를 통해 광케이블로 직접 연결했습니다. (블루투스보다 사운드 품질이 좋을 것 같아서) 

엘지 프로젝터의 특장점은 USB, 옵티컬, HDMI까지 다양한 단자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리시버가 없어도 됩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운드바를 설치해보는 과정을 통해 미관상 최적의 조합을 찾아냅니다. 




저는 이래저래 많이 고민한 결과 아래와 같은 조합을 구상해서 설치를 했습니다. 거실 벽에 위치하다보니 아무래도 깔끔하게 보이는게 중요한 것 같아 사운드바를 하나로 합쳤습니다.  BZ-T3710 제품의 경우 위 사진과 같이 스탠드로 놔도 되고, 아래 사진과 같이 일체형으로 조립도 가능합니다. 활용도가 높죠. 저희 집은 거실 바닥에 아무것도 놓지 않았습니다. 로봇청소기가 일 할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해서요~(이 내용에 대해서도 조만간 포스팅 하겠습니다.) 




3. 스크린 
스크린도 역시 가성비 갑인 윤씨네 120인치 16:9 반자동 스크린을 구매했습니다. 이 스크린의 경우 나사선이 4개가 나있습니다. 상부2개, 측면 2개. 그래서 상부 구멍은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거고, 측면은 벽에 고정하는 용도로 있는 거죠. 저는 거실 천정 모서리 부분이 몰딩이 되있어서, 벽 붙이로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철물점에 요청하시면 벽이든, 천정이든 구멍은 다 뚫어줍니다. 대신 스크린의 경우 미리 타공할 부분을 연필이나 사인펜으로 마킹해 놔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스크린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철물점에 설치를 요청 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대신 주변 지인들에게 부탁해서 같이 설치하거나, 아니면 수고비를 더 드리더라도 철물점 아저씨를 도와 같이 설치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아내와 같이 했네요. 제가 스크린을 들고 있고, 제 아내가 전동드릴로 타공 되있는 구멍에 볼트 체결을 했는데, 티격태격 했습니다. 아내가 빨리 안해주면, 제 어깨가 빠지거든요. 




사실 스크린 설치가 가장 힘들었고, 고역스러웠습니다. 이 영상을 보시는 분들은 여건이 되신다면, 천정에 고정하는게 더 쉬울 듯합니다. 나비앵커로 고정하는건데,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나비앵커 스크린 설치" 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많은 후기가 있을거에요. 어쨋든 지금은 스크린 품질에 만족하고 있고, 올리고 내릴때 굉장히 부드럽습니다. 열번 강추 드릴게요! 





참고로 홈시어터 설치하는데 들어간 총 비용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총 비용은 126만원 들어갔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 참고해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https://youtu.be/8X2ERmWvhcc




출처: https://bigpicture1.tistory.com/68 [꿀동산 스튜디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우리집에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가이드이라는 주제로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가정용 홈시어터를 설치를 위한 첫 단계로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프로젝터의 종류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터 브랜드와 모델에 따라 리시버가 필요한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브랜드와 프로젝터 모델을 정하고 그 모델에 맞게 시스템 컨셉을 잡아 나가는 것입니다. (시스템 컨셉은 다음편에서 이어서 포스팅) 




저의 경우에는 프로젝터 예산을 120만원 맥시멈으로 잡고, 그 이하의 모델들을 선택지에 두고 검토했습니다. 뷰소닉, 옵티마, 그리고 엘지 세 가지 브랜드를 선택지에 두고 고민을 했고, 결국  엘지 프로젝터 HF60FAG를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 3가지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첫 째, 프로젝터 내부에 각종 단자 내장
엘지의 경우 프로젝터에 각종 단자가 내장 되 있어서, 별도의 리시버가 필요 없었고, 블루투스 기능까지 있기 때문에, 사운드바와 연결시 무선 컨셉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광케이블로 연결하긴 했지만..)




둘 째, 준수한 안시, 탁월한 명암비 

HF60FAG 제품을 구매 전 망설이게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안시였습니다. 스펙이 1,400으로 나와있는데, 이게 실제로 어느정도 밝기인지 도통 감이 안왔습니다. 다른 제품 후기들을 열심히 읽어본 결과, 암막만 잘 되면 영화관 수준으로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글 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타 제품에 비해 앞도적인 명암비(선명도, 150,000:1)와 함께 각종 단자, OS로 인한 편의성을 자랑하는 이 제품을 구매 하겠다는 결심이 서게 된거죠. 



제가 실제로 1년 동안 사용해본 결과 밝을 때는 암막커튼 없이 시청하기 힘들지만, 암막커튼을 이용하면 쾌적하게 영상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저녁에는 조명을 다 끄고 영화를 시청하면, 정말 극장 생각이 안납니다. 결론은 대만족입니다. 


셋 째, 자체 OS를 이용한 넷플릭스 시청
이 제품은 LG 자체 OS가 내장 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넷플릭스를 다이렉트로 시청할 수 있어서 구매를 결심했습니다. 전원을 키면, 넷플릭스 아이콘이 보이는데, 그것을 클릭하면 바로 넷플릭스에 연결이 되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설치 전에는 블루레이, 게임기, 노트북 등 각종 영상 소스를 즐길 계획을 갖고 프로젝터를 설치했는데, 결국 전원을 키면 넷플릭스만 애용하게 되더라고요. 게임도 이용해 봤는데, 정말 신세계였습니다. 120인치 대화면으로 즐기는 경험은 굉장히 특별했습니다. 게임과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은 TV대신 프로젝터를 선택하는게 어쩌면 더 좋은 결정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터 모델을 선택했다면, 그 다음에 고려 하실 것은 스크린과 사운드바입니다. 이것은 다음편에서 홈시어터 시스템 구성 및 설치방법과 함께, 2편, 3편에서 차근차근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8X2ERmWvhcc








반응형
반응형

프로젝터 종류를 선정 했다면, 그 이후에는 사운드바와 스크린, 두  항목에 대해 모델을 정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모델을 정하기 전에 선행해야 하는 작업이 있습니다. 시안도로 대충 컨셉을 잡아보고, 그 이후에는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를 잡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크린의 사이즈를 정할 수 있습니다. 

1. 스크린 사이즈와 위치, 프로젝터 위치 선정 방법
스크린은 자립형으로 할지, 벽붙이형으로 할지를 고민합니다. (저는 벽붙이형으로 결정)


그리고 프로젝터와 사운드바의 위치를 잡아보는거죠. 프로젝터는 천정과 벽 중에서 벽선반 위에 놓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프로젝터의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 화면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프로젝터 설치 위치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을 정확히 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이를테면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화면의 크기는 작아지기 때문에 스크린은 작은 것을 구매해야 되는거고, 거리가 멀어질 수록 스크린은 큰 것을 구매할 수 있는 것입니다. 프로젝터 거리별 화면 크기는 아래 링크에 가시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크린의 크기가 선정 되는 것입니다. 

http://www.projectorcentral.com/LG-PF1500-projection-calculator-pro.htm


2. 사운드바 위치 선정 방법

이제 사운드바 위치를 생각해 봅시다. 저의 경우 1안과(스크린 아래 놓기) 2안을(소파 위 벽선반 위에 놓기) 두고 고민했는데, 벽선반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유는 바닥에 사운드바가 있으면, 미관상 좋지 못하고, 샤오미 로봇 청소기가 일을 하는데 지장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한 가지 고민도 있었습니다. 사운드바가 벽선반 위에 놓여 지면, 소리가 소파 위에서 들리게 되는건데, 영화를 볼때 화면과 싱크로가 안맞게 되는거 아닌가 하는 우려를 했지만 이는 기우였습니다. 저희가 앉았을 때 소파와 사운드바 사이에 거리도 좀 있다보니, 영화 시청시 몰입에 지장이 전혀 없었고, 소리가 마치 화면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프로젝터 시안도

- 설치 완료 사진


3. 영상 입력 소스 선정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를 잡고, 스크린의 사이즈가 정해졌다면 그 다음은 시스템 구성도를 그려보는 것입니다. 프로젝터에 어떤 소스를 넣어서 즐길 지를 생각해보는 거죠. 저의 경우 프로젝터 자체에 내장 되 있는 넷플릭스를 베이스로 해서, 노트북이나 게임기, 블루레이급의 초고화질 영상을 프로젝터로 즐기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아래 구성도에 대한 세부 내용 설명은 그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구성도

- 넷플릭스(자체 OS)

- 게임(월광보합)

-방송 컨텐츠(HDMI orTV기능)



https://youtu.be/8X2ERmWvhcc




출처: https://bigpicture1.tistory.com/68 [꿀동산 스튜디오]

이제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와 모델을 대강 정했습니다. 이제 다음포스팅에서는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 설치 방법에 대해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