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1편_프로젝터(HF60FAG) 모델 선정하기 (LG 프로젝터 후기)
보석캔디바
2019. 3. 6. 00:14
반응형
오늘은 우리집에 가정용 홈시어터 설치가이드이라는 주제로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가정용 홈시어터를 설치를 위한 첫 단계로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프로젝터의 종류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터 브랜드와 모델에 따라 리시버가 필요한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브랜드와 프로젝터 모델을 정하고 그 모델에 맞게 시스템 컨셉을 잡아 나가는 것입니다. (시스템 컨셉은 다음편에서 이어서 포스팅)
저의 경우에는 프로젝터 예산을 120만원 맥시멈으로 잡고, 그 이하의 모델들을 선택지에 두고 검토했습니다. 뷰소닉, 옵티마, 그리고 엘지 세 가지 브랜드를 선택지에 두고 고민을 했고, 결국 엘지 프로젝터 HF60FAG를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 3가지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첫 째, 프로젝터 내부에 각종 단자 내장
엘지의 경우 프로젝터에 각종 단자가 내장 되 있어서, 별도의 리시버가 필요 없었고, 블루투스 기능까지 있기 때문에, 사운드바와 연결시 무선 컨셉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광케이블로 연결하긴 했지만..)
둘 째, 준수한 안시, 탁월한 명암비
HF60FAG 제품을 구매 전 망설이게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안시였습니다. 스펙이 1,400으로 나와있는데, 이게 실제로 어느정도 밝기인지 도통 감이 안왔습니다. 다른 제품 후기들을 열심히 읽어본 결과, 암막만 잘 되면 영화관 수준으로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글 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타 제품에 비해 앞도적인 명암비(선명도, 150,000:1)와 함께 각종 단자, OS로 인한 편의성을 자랑하는 이 제품을 구매 하겠다는 결심이 서게 된거죠.
제가 실제로 1년 동안 사용해본 결과 밝을 때는 암막커튼 없이 시청하기 힘들지만, 암막커튼을 이용하면 쾌적하게 영상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저녁에는 조명을 다 끄고 영화를 시청하면, 정말 극장 생각이 안납니다. 결론은 대만족입니다.
셋 째, 자체 OS를 이용한 넷플릭스 시청
이 제품은 LG 자체 OS가 내장 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넷플릭스를 다이렉트로 시청할 수 있어서 구매를 결심했습니다. 전원을 키면, 넷플릭스 아이콘이 보이는데, 그것을 클릭하면 바로 넷플릭스에 연결이 되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설치 전에는 블루레이, 게임기, 노트북 등 각종 영상 소스를 즐길 계획을 갖고 프로젝터를 설치했는데, 결국 전원을 키면 넷플릭스만 애용하게 되더라고요. 게임도 이용해 봤는데, 정말 신세계였습니다. 120인치 대화면으로 즐기는 경험은 굉장히 특별했습니다. 게임과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은 TV대신 프로젝터를 선택하는게 어쩌면 더 좋은 결정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터 모델을 선택했다면, 그 다음에 고려 하실 것은 스크린과 사운드바입니다. 이것은 다음편에서 홈시어터 시스템 구성 및 설치방법과 함께, 2편, 3편에서 차근차근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8X2ERmWvhcc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