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홈시어터 설치 가이드 2편_스크린 사이즈 및 프로젝터 위치 선정 노하우
그리고 프로젝터와 사운드바의 위치를 잡아보는거죠. 프로젝터는 천정과 벽 중에서 벽선반 위에 놓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프로젝터의 경우 설치 위치에 따라 화면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프로젝터 설치 위치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을 정확히 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이를테면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화면의 크기는 작아지기 때문에 스크린은 작은 것을 구매해야 되는거고, 거리가 멀어질 수록 스크린은 큰 것을 구매할 수 있는 것입니다. 프로젝터 거리별 화면 크기는 아래 링크에 가시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크린의 크기가 선정 되는 것입니다.
http://www.projectorcentral.com/LG-PF1500-projection-calculator-pro.htm
2. 사운드바 위치 선정 방법
이제 사운드바 위치를 생각해 봅시다. 저의 경우 1안과(스크린 아래 놓기) 2안을(소파 위 벽선반 위에 놓기) 두고 고민했는데, 벽선반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유는 바닥에 사운드바가 있으면, 미관상 좋지 못하고, 샤오미 로봇 청소기가 일을 하는데 지장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한 가지 고민도 있었습니다. 사운드바가 벽선반 위에 놓여 지면, 소리가 소파 위에서 들리게 되는건데, 영화를 볼때 화면과 싱크로가 안맞게 되는거 아닌가 하는 우려를 했지만 이는 기우였습니다. 저희가 앉았을 때 소파와 사운드바 사이에 거리도 좀 있다보니, 영화 시청시 몰입에 지장이 전혀 없었고, 소리가 마치 화면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프로젝터 시안도
- 설치 완료 사진
3. 영상 입력 소스 선정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를 잡고, 스크린의 사이즈가 정해졌다면 그 다음은 시스템 구성도를 그려보는 것입니다. 프로젝터에 어떤 소스를 넣어서 즐길 지를 생각해보는 거죠. 저의 경우 프로젝터 자체에 내장 되 있는 넷플릭스를 베이스로 해서, 노트북이나 게임기, 블루레이급의 초고화질 영상을 프로젝터로 즐기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아래 구성도에 대한 세부 내용 설명은 그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구성도
- 넷플릭스(자체 OS)
- 게임(월광보합)
-방송 컨텐츠(HDMI orTV기능)
이제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의 설치 위치와 모델을 대강 정했습니다. 이제 다음포스팅에서는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 설치 방법에 대해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